×
×
×
×
여기에 글을 작성하여 주세요
×
M
O
B
classic
2009 부산국제음악제 로렌스레써&백혜선 베토벤 첼로소나타 전곡연주회
100
10,000
1,400
일시
2009.02.16 ~ 2009.02.16
장소
부산문화회관 중극장
공연정보
역사적인 첼리스트는 생애 한번 이상은 이 곡을 연주한다! 첼로 음악의 신약성서라고 일컬어지는 베토벤 첼로 소나타 전곡 연주, 놓치시면 후회합니다. 이 곡들에 대해 첼리스트는 피아노가 반주한다고 말하고 피아니스트는 첼리스트가 반주한다고 말할 만큼 첼로와 피아노의 대등한 호흡이 있습니다. 연주시작 오후6시부터 10시까지 마라톤 연주! 그 역사적인 감동의 현장을 함께 하십시오.

베토벤 첼로 소나타
베토벤은 관현악, 교향곡, 협주곡, 실내악,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평생 동안 200여 곡을 작곡했다. 이 중 첼로 소나타가 첼리스트들에게 각별한 것은 피아노 중심이 아닌, 피아노와 첼로를 동등한 비율로 작곡한 첫 시도이기 때문이다. 베토벤은 첼로와 피아노를 위해 5개의 소나타를 만들었고, 3개의 변주곡을 썼다. 1번 소나타부터 5번 소나타까지 젊은 시절부터 귓병으로 고통스러웠던 말년의 베토벤의 모습이 녹아 있다. 베토벤 첼로 소나타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과 함께 각각 첼로 음악의 신약성서와 구약성서로 불리고 있다. 대다수 첼리스트의 꿈=조영창 씨는 “아무나 하면 안 되는 데도 모든 첼리스트가 하고 싶어하는 곡이 베토벤 소나타 정복”이라고 말했다. “지나치게 로맨틱하지도, 엄격해서 숨막히지도 않을 정도의 ‘독일 고전음악’에 정통해야 이 곡을 연주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베토벤의 작곡 스타일이 변하는 과정을 지켜볼 수 있는 이 작업이 음악과 문화에 대한 얕은 이해로는 쉽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래서 첼리스트들은 ‘때’를 기다린다. 양성원씨는 “20대에 처음 베토벤 첼로 소나타를 접하고 기둥 없는 건물을 맨몸으로 떠받드는 느낌이 들었다”고 기억했다. 그래서 그는 음악이 무르익기를 기다렸고, 마흔이 된 지난해 앨범을 내놓은 후 연주에 도전했다. 조씨 또한 “몇년 후에 다시 전곡을 녹음하고 싶다”고 말했다.

자리 잡는 전곡 연주
베토벤 전곡 연주의 성공은 국내 음악계에도 낯설지 않다. 지난해 12월 피아니스트 백건우(62)씨는 소나타 전곡(32)으로 호평을 받았다. 평균 90% 넘는 유료 관객을 끌어들이며 흥행에도 성공했다. 아카데믹하고 의미 있는 연주에 국내 ‘단골’ 청중의 층도 두툼해졌다는 것을 증명한 사례다. 이후 지명도 있는 국내 연주자, 실력파 해외 연주자들의 베토벤 전곡 연주가 이어지고 있는 모양새다. 가장 젊은 동참자 패트릭 지는 “베토벤이 전통·한계를 극복해가는 드라마틱한 삶을 살았다는 점에서 그의 모든 작품을 훑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전곡 연주가 베토벤으로 집중되는 현상을 설명했다. 베토벤 첼로 소나타는 역사적 첼리스트들이 한 번씩 도전한 ‘필수 코스’이기도 하다. 지난해 타계한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는 스비아토슬라프 리히터와 1960년대에 몇 년에 걸쳐 명연주를 녹음했다. 이후 자클린 뒤프레와 다니엘 바렌보임, 미샤 마이스키와 마르타 아르헤리치가 명연주 대열에 들었다.
ALBUM SHOUTS
0/1000 characters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