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여기에 글을 작성하여 주세요
×
M
O
B
classic
토스카 : 2008 국립오페라단 푸치니 탄생 150주년 기념 푸치니의 여인들
100
10,000
1,400
일시
2008.09.02 ~ 2008.09.02
장소
예술의전당 콘서트홀
주최
국립오페라단
공연정보

국립오페라단은 2008년 6월 9일(월), 예술의전당 콘서트홀에서 푸치니 탄생 150주년 기념 <푸치니의 여인들_푸치니 그랜드 4부작>을 무대에 올린다.
오페라 음악의 본질로 돌아가 오케스트라와의 협연으로 진행되는 콘체르탄테는 국립오페라단의 오랜 공연 노하우와 국내외 최고의 음악인들이 만나 듣는 오페라, 음악적 집중도가 높은 오페라 음악의 진수를 느낄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푸치니가 사랑한 오페라 탄생 150 주년을 맞아 국내 초 호화 캐스팅
푸치니 탄생 15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우리나라 최정상 지휘자와 성악가들이 푸치니 페스티벌에 한 목소리를 내어 푸치니를 탄생을 기념한다.
김홍재, 김덕기, 최승한, 구자범등 한국을 대표하는 정상급 지휘자들과 더불어 박현재, 고성현, 김남두, 김향란, 서혜연등 국내 최정상 성악가들이 한자리에 모이게 된다.
또한 코리안심포니 오케스트라와 프라임필하모닉 오케스트라가 각각 2작품씩 3관 편성(약 80여명)의 연주를 선보이며, 합창단 또한 각각의 작품당 60-80명씩 무대에 올라 연주자만 약 290명의 국내 최대의 음악가들이 이번 콘체르탄테 무대를 준비하게 된다.

왜 “내일을 여는 오페라 콘체르탄테”인가?
국립오페라단은 공연제작의 효율을 최대한 높이고자 그간 MFO(My First Opera), MNO(My Next Opera) 시리즈를 개발해 왔다. 이에 그치지 않고 국립오페라단의 소임을 다하고자 새로이 “내일을 여는 오페라 콘체르탄테”시리즈를 연다. 국립오페라단의 공연편수의 한계가 있는 만큼 관객의 수요를 모두 수렴하기는 어려운 점을 감안하여 MFO, MNO 시리즈가 관객의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탄생한 것과 마찬가지로 콘체르탄테 시리즈도 국립오페라단이 오페라 관객을 최대한 만족시키기 위해 탄생했다.

작품선정의 기준은 첫번째로 오페라 제작 여건상 뛰어난 음악성에도 불구하고 공연화하기 어려운 작품, 두번째로 유명 작곡가의 탄생이나 서거 기념이 되는 해처럼 특별한 계기가 있으나 오페라로 제작하기 어려움이 있는 시기의 작품, 세번째로 국립오페라단이 공연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대중적 인지도가 부족하여 관심을 불러 일으켜야 하는 작품, 네번째로 오페라 작품이 지역적으로 이태리나 독일 등이 아닌 나라의 작품은 공연화되기 어려웠던 점 등을 감안하여 선정된 작품들이 오페라 콘체르탄테 무대에 올려지게 된다.

앞서 열거한 다양한 이유로 인해 국립오페라단은 오페라 공연 외에 관객에게 더욱 다양한 형태의 공연 혹은 연주로 관객들에게 오페라의 장을 마련하게 될 것이다.
오페라 콘체르탄테 시리즈는 오페라 공연이 관객에게 줄 수 있는 시각적 효과는 전달하지 못하더라도 음악적인 측면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주기 때문에 음악 애호가들에게 광범위한 관심을 얻을 것으로 예상된다.

오페라 콘체르탄테란?
오페라 콘체르탄테(Opera Concertante)는 18세기 바로크 시대에 유행했던 오페라 공연의 한 형태로, 오케스트라가 무대 정중앙에 위치하고 성악가들이 노래하는 콘서트 형식의 오페라 공연이다. 유명 오페라 아리아를 콘서트 형식으로 진행하는 오페라 갈라와 달리, 의상과 소품 없이 협연의 형태로 오페라 전막을 공연한다. 보여주는 공연이 아니라, 듣는 공연인 만큼 오케스트라와 합창단의 역량이 솔리스트의 개인적 역량만큼이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오페라 공연의 한 형태이다. 피트 안에 숨어있던 오케스트라의 소리가 무대 위에 어우러져 솔리스트, 합창의 소리와 함께 동등한 음역으로 퍼지면서 오페라 음악의 섬세한 아름다움을 들려준다.

토스카
3막으로 이루어진 오페라. 1900년 로마에서 초연되었다.
프랑스 극작가 V. 사르두의 희곡을 바탕으로 L. 일리카와 G. 자코자가 이탈리아어 대본을 작성하였다.
1800년 로마를 무대로, 가희(歌姬) 토스카를 연모하는 경찰 총경 스카르피아는 그녀의 연인인 화가 카바라도시를 혁명파 가담죄로 체포, 그의 구명조건으로 그녀를 차지하려 한다.
결국 토스카는 구명과 출국허가를 받은 뒤 스카르피아를 찔러 죽이지만 약속과는 달리 카바라도시는 총살당하고 토스카도 성벽에서 투신자살한다는 비극적인 내용이다.
원작의 정치적 색채가 오페라에서는 희석되고, 인간의 욕망과 질투가 강조되었다. 고문· 살인· 처형 장면을 자연주의적으로 묘사한 음악과 토스카의 ‘노래에 살고, 사랑에 살고’(Vissi d'arte, vissi d'amore)와 카바라도시의 ‘별은 빛나건만’(E luce van le stelle) 같은 서정적 아리아가 좋은 대조를 이룬다.

ALBUM SHOUTS
0/1000 characters u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