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여기에 글을 작성하여 주세요
×
M
O
B
classic
오페라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
100
10,000
1,400
일시
2010.04.19 ~ 2010.04.25
장소
예술의전당 오페라극장
주최
국립오페라단
공연정보
인간에게 가장 근원적인 주제를, 인간에게 가장 친숙한 소리를 통해, 대중과 함께 호흡하고 교감해나가는 국립오페라단(단장 이소영)은 오페라 세계의 대표적인 작품들을 꾸준히 무대화함으로써 오페라의 진수를 맛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1월 <이도메네오>의 한국초연을 시작으로 2010년 시즌공연을 시작한 국립오페라단은, 작품의 열린 해석을 통한 오페라의 진보를 꿈꾸며 예술성과 대중성을 고루 갖춘 수준 높은 오페라로 국민을 위한 오페라단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짐승들이 생존을 위해 살생을 한다면 인간은 자신의 욕망을 실현하기 위해 살인을 저지른다.
이번, 국립오페라단은 인간의 욕망의 가장 극악적 표현인 ”살인”을 코드로,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맥베드>와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그리고 그 누구도 국내 공연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지 못했던 20세기 화제작 <룰루>를 선정, 18~19세기 작품에 집중되던 국내 오페라 무대의 확장과 함께, 세계적인 수준으로의 오페라 발전을 위해 끊임없는 도전을 준비하고 있다.

권력을 쫓는 거침없는 욕망의 실현을 위해 … <맥베드>
사랑의 욕망이 낳은 광란으로 치닫는 비극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원초적 생존의 관능적 욕망을 누리기 위해… <룰루>


세 개의 살인현장 속에서 우리는 그 누구도 완벽하게 선과 악의 경계로부터 벗어날 수 없다. 우리가 목격하게 되는 것은 일종의 무대상의 허구라 치부할 수 있지만, 각각의 다른 진실들이 숨어있는 살인을 통해 우리는 자신의 내면 속의 욕망과 맞닥뜨리게 된다.

목격자는, 나의 일그러진 욕망을 기억하는 단 한 사람. 마음 속에 똬리를 틀고 있는 자신의 죄의식이다. 야욕이 낳은 파멸 - <맥베드>, 사랑이 낳은 비극적 슬픔 -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생존의 욕망이 낳은 죽음 - <룰루>.
실타래처럼 엮인 인간 군상들에 내재하는 “악”의 존재가 빚어내는 무질서의 세계는, 세기를 넘나들며 인간의 보편적인 속성을 그리기에, 2010년을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더욱 더 큰 반향을 불러일으킬 것이다.

이제부터는 관객들의 몫이다. 세 작품에 공통으로 등장하는 “피 묻은 단도”에서 당신은 무엇을 느낄 것인가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죽음으로 끝난 사랑!
어긋난 운명으로 빚어진 비극의 사건을 오페라로 만나다!

구성 : 전 3막
작곡 : 게타노 도니제티(Gaetano Donizetti)
대본 : 살바토레 카마라노
원작 : 월터 스콧의 소설 <람메르무어의 신부(The Bride of Lammermoor)>
초연 : 1835년 9월 26일 이탈리아 나폴리 산 카를로 극장.


근대 최고의 오페라 작곡가와 이시대 최고의 소프라노의 만남!

작곡가 가에타노 도니제티 (Gaetano Donizetti) 1797. 11.29 ~ 1848. 4.8
오페라 <사랑의 묘약> 그리고 <람메르무어의 루치아>

이탈리아 작곡가 가에타노 도니제티는, 볼로냐 음악원 수학. 1830년대에 들어서 점차 원숙한 기법으로 오페라 부파 <사랑의 묘약>(1832), <연대의 딸>(1840), <돈 파스콸레>(1843)와 오페라 세리아 <루크레치아 보르지아>(1834), <루치아>(1835) 등을 남겼다. 사랑의 묘약>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감미로운 멜로디의 창작에도 뛰어난 그의 작품의 궁극적 목적은 가수의 아름다운 소리를 어떻게 발휘하느냐 하는 방법의 탐구에 있었다.
도니제티는 유려하고 감미로운 멜로디의 창작에 뛰어나, 성악가의 고난도 기교를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오페라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장중한 비극을 유려하게 연주하여 최고의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는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의 “광란의 아리아”는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의 운명에 울부짖는 여인을 훌륭하고 표현하고 있으며, 이를 노래한 신영옥을 세계 최고의 소프라노로 만들었다.


사람의 목소리가 가장 아름답고 위대한 악기임을 일깨워주는 신영옥
극장 역사상 가장 위대한 ‘광란의 아리아’로 찬사를 받은 소프라노...

"소프라노 신영옥, 루치아로 날아오르다!
늘 가장 이름 높은 소프라노들에게 주어지는 루치아역, 그녀는 의심할 나위없이 그만한 등급에 합류할 만반의 태세를 갖추고 있었다. “
"은방울을 굴리는 듯한 목소리의 미녀, 야수에게 걸맞은 행동!
신영옥은 불운한 <람메르무어의 루치아>를 걸작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모든 것을 지녔다.”
"소프라노 신영옥은 이 낡고 진부한 작품을 무릎 꿇히고, 페미니스트들과 무대 위의 의미심장한 연기를 기대하는 연극 애호가들의 경멸적인 시선, 그리고 똑같은 조로 부르는 또 다른 아리아에 싫증이 난 귀들에 맞서 굳세게 싸웠다. 맑고 정밀한 콜로라투라로 노래한 그녀는 1막에서는 어린아이같고 상처받기 쉬운 인물로, 2막에서는 연약한 의지의 소유자로, 그리고 3막에서는 완전히 무너져버린 여인으로 나아가며 캐릭터를 정의했다.
그녀는 캐나디안 오페라 컴퍼니의 새 공연작인 도니체티의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에서 희생양이 된 처녀 역할로 습관적인 갈채 그 이상의 것을 얻어냈다. “

목격자의 시선으로 바라보는 오페라의 다른 재미!

인간은 누구나 공포를 지니고 있다. 반면에 그런 극적인 감정을 목격자의 시선으로 즐기기도 한다. 누구나 한번쯤 괴로운 현실에서 벗어나길 원하면서도 사랑의 상처에 대한 두려움, 사람들에게 소외되는 것에 대한 공포심을 가지고 있는 것도 여기에 있다.
오페라 <람메르무어의 루치아>에는 이런 인간의 두 가지 감정을 작품으로 충족 시켜주고 있다. 극단적인 선과 악을 구분하기 이전에, 가해자이자 때로는 피해자가 될 수 밖에 없었던 주인공 루치아처럼 서로가 서로에게, 자의와 타의로 상처를 주는 우리에게도 시사점이 있다. 그것은 과거의 역사와 21세기의 현재를 살아가는 이 시대의 공통점이기도 하다.
현대인이 가지고 있는 죽음의 심연을 넘나드는 극적인 공포와 그것을 지키지 못함으로써 벌어지는 무서움을 오페라의 시선으로 경험하게 된다. 이야기가 주는 재미 이상으로, 아리아를 듣는 즐거움의 요소가 더해져 작품의 흐름은 간소하면서도 신선하고 멜로디가 풍부하다. 효과적인 요소의 집중과 극적인 박력이 전체를 채우고 있다. 전개에 비극적인 분위기가 전체적으로 흐르고 있지만, 낙천적인 이탈리아 특유의 방식으로 풀어내어 그 매력을 더한다.

<감상 포인트> 극장 역사상 가장 위대한 광란의 장면 “신영옥의” 광란의 아리아

Il dolce suono mi colpi di sua voce (그분의 다정한 음성이 들린다)

달콤한 소리가 나를 때린다, 그의 목소리!!
아, 그 목소리가 나의 마음으로 내려온다!
(중략)
아아, 솟아오른다 무서운 유령이 그리고 갈라놓는다 우리를!
여기서 피난처를 찾아요, 에드가르도, 제단의 아래에서.
뿌려져 있어요 장미가!
천상의 하모니가, 들리지 않아요
아, 결혼 축가 소리가 들리네!
예식이 우리를 위해 곧 치뤄져요! 오, 나에게 행복을!
오, 쾌락을 느끼지만, 그것에 대해 말하지 않네!


주인공 루치아가 남편을 죽이게 되고 피뭍은 잠옷을 입고 나와 부르는 광란의 아리아는 무려 15분이 넘는 이 아리아는 오페라 전체에 걸쳐 가장 핵심이 되는 장면이다. 무대라는 한정된 공간 안에서 아름다우면서도 비극에 넘는 절정을 나타낸 이 장면에서 “극장 역사상 가장 위대한 광란의 장면” 이라는 캐나다 언론의 절찬을 받은 신영옥의 연기가 더욱 기대된다.
ALBUM SHOUTS
0/1000 characters used